개발&제작/프로그램

[c#] CEF를 이용한 페이스북 자동화 프로그램 (2)

표준라이브러리 2017. 2. 23. 13:21

이 글은 .NET에서 Chromium Embedded Framework(CefSharp)와 Facebook SDK를 이용한 "페이스북 자동화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을 담은 기록 문서들 중 (2)에 해당하는 글입니다. 


(1) - 프로그램 구상 및 개요

(2) -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등록 방법

(3) - Facebook SDK와 CefSharp 적용 방법

(4) - 프로그램의 구동 과정

(5) - 마무리 : 배운것과 보완할 점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등록 절차를 거치는 이유는 페이스북 데이터 접근 권한과 페이스북이 제공하는 기능들(API)을 제공받고 활용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를 위해 엑세스 토큰이 필요로 하게되고, 엑세스 토큰을 반환받기 위해서는 앱 ID앱 시크릿 코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앱 ID와 앱 시크릿 코드를 발급 받기 위한 절차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현재 어플리케이션 등록과정은 그렇게 어렵지 않기 때문에, 다음 과정들을 통해 손 쉽게 등록할 수 있습니다. 


등록 방법에 대해서는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등록"으로 검색하게 되면 이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 글이 많이 있습니다. 여러가지 보시다 보면 이전(혹은 초창기) 버전의 적용 방법에 대한 내용도 있고, 현재 버전의 적용 방법이 적힌 내용 또한 있습니다. 보시면서 서로 비교해보는것도 좋은 공부가 될 듯합니다.


저는 이번에 처음 앱을 등록해봤으니 지금(2017년 2월) 시점을 기준으로 등록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해드리니, 아래의 과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페이스북 로그인을 하신 뒤, https://developers.facebook.com/apps/에 접속합니다.




2) 화면에 "+새 앱 만들기(혹은 +새 앱 추가)" 버튼을 클릭한 뒤, 앱 이름과 카테고리를 선택한 후 "앱 ID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카테고리는 게임, 교육, 뉴스, 동영상 등등 여러가지 있으니 해당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시면 될듯합니다.)


3) 보안 확인을 위해 화면에 보이는 보안 문자를 입력한 뒤, "제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4) 앱 등록을 마치면 https://developers.facebook.com/apps/ 페이지에 방금 등록한 이름의 앱이 표시됩니다. (위 사진은 새로 등록한 모습은 아니고, 등록한 앱이 저런식으로 보여진다라는 것을 설명하기 위함입니다.)




5) 이를 클릭해서 "대시보드"탭(기본으로 대시보드 탭에 바로 들어가짐)을 보면 해당 앱의 앱ID와 앱 시크릿 코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앱 시크릿 코드에서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코드 전체를 문자로 표시해주니, 복사해서 코드에 적용하시면 됩니다.





이제 발급받은 앱 ID와 앱 시크릿 코드를 베이스로 개발중인 프로그램의 플랫폼과 프레임워크에 맞는 페이스북 API 구문을 사용하면됩니다. 이 내용 역시 검색하다 보면 많은 참고자료가 있고 예제가 있으니, 필요로 하시는 내용들을 알맞게 사용하시면 될 듯합니다. 


저는 아무래도 .NET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다보니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문서에서 C# SDK 또는 .NET SDK를 찾아봤는데 안보이더군요. (기타 SDK에 Windows SDK가 있는데, 네임스페이스 참조를 "Facebook"이 아닌 "winsdkfb"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아직까지도 이곳저곳 검색하면서 API에 대한 예저들을 찾아보는 중입니다. 


그래도 특정 플랫폼을 막론하고 기본적으로 알아야할 내용에 대해서는 공식 참조 문서를 참고하는것이 많이 도움이 됩니다. 특히 그래프 API를 많이 사용하므로 아래의 링크를 주로 참조하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 페이스북 개발 그래프 API 참조 문서 : https://developers.facebook.com/docs/graph-api

· 페이스북 그래프 API Explorer : https://developers.facebook.com/tools/explorer/




그래프 API Explorer는 실제로 유저 정보 받아오기, 글 쓰기 등등의 작업들을 실제로 해볼수 있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위의 그림처럼 Graph API Explorer의 엑세스 토큰을 통해 자신의 특정 정보들을 골라서 검색해볼 수 있고, 그래프 API 구문을 참고하면서 여러 예제들을 이곳에서 해볼 수 있습니다. 또한 코드 받기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적용된 것을 원하는 플랫폼에 맞게 구문을 변환시켜줘서 이를 그대로 복사하여 손쉽게 코드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글은 Visual Studio 2015에서 CefSharp과 Facebook 패키지를 어떻게 적용하고 사용하고 있는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다소 전문적인 내용이 부족할 수 있는점 양해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