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lol
- 압축프로그램
- .NET
- 게임의 심리학
- c#
- 돋보기
- ogn
- Chromium Embedded Framework
- 히오스
- 롤
- 탐색기
- 음악플레이어
- Xamarin
- 그림판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HGC
- lck
- 메모장
- 리뷰
- winmm.dll
- 리그오브레전드
- Facebook developer
- NuGet
- OAuth 2.0
- Today
- Total
목록개발&제작 (11)
1인 콘텐츠 개발실
해당 포스팅은 C#을 이용하여 간단한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그 안에 쓰이는 라이브러리나 알고리즘(로직) 등을 다뤄보고 학습하는 포스팅입니다. 이 글을 통해 기존에 있던 프로그램과 비교하면서 해당 프로그램의 쓰임새, 동작 방식 등을 분석하거나 조금은 다른 관점으로 접근하여 생각해 보는것이 이 글과 앞으로 있을 포스팅의 목표입니다. # 개요 요즘에 우리는 디지털 시대의 편의를 누리는 만큼 그림, 음악, 영상... 등 등 여러 미디어들을 컴퓨터나 모바일 등 전자기기를 통해 접하는 일이 많아졌습니다. 그 중 음악 같은 경우는 직접 연주하거나, 노래 하는 것을 직접 듣지 않는 이상, 음반 CD와 mp3 파일 혹은 스트리밍 데이터 등 디지털화된 음악을 듣는것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이 때 우리는 미디어 플..
해당 포스팅은 C#을 이용하여 간단한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그 안에 쓰이는 라이브러리나 알고리즘(로직) 등을 다뤄보고 학습하는 포스팅입니다. 이 글을 통해 기존에 있던 프로그램과 비교하면서 해당 프로그램의 쓰임새, 동작 방식 등을 분석하거나 조금은 다른 관점으로 접근하여 생각해 보는것이 이 글과 앞으로 있을 포스팅의 목표입니다. # 개요 이번 유틸리티 프로그램은 파일의 용량을 줄여 저장 공간의 활용성을 높여주는 일명 [압축기]입니다. 오늘날 인터넷의 발전으로 데이터 통신의 대한 효율을 높이는 노력이 많아져, 그림이나 동영상 데이터를 보다 적은 용량으로 최대한 원본에 가깝게 압축하는 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압축 파일로 알려진 .zip, .rar, .7z 뿐만 아니라 미디어 데이터로 ..
해당 포스팅은 C#을 이용하여 간단한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그 안에 쓰이는 라이브러리나 알고리즘(로직) 등을 다뤄보고 학습하는 포스팅입니다. 이 글을 통해 기존에 있던 프로그램과 비교하면서 해당 프로그램의 쓰임새, 동작 방식 등을 분석하거나 조금은 다른 관점으로 접근하여 생각해 보는것이 이 글과 앞으로 있을 포스팅의 목표입니다. # 개요 이번 유틸리티 프로그램은 우리가 알게 모르게 사용하고 있는 [탐색기]입니다. 가령 예를 들어 [내 컴퓨터]나 [내 문서]를 들어가 그 안에 있는 파일을 실행하거나 다른 폴더를 들어가는 작업을 종종 하는데, 이 때 열리는 폴더 창이 [파일 탐색기] 프로그램입니다. 작업 프로세스에서는 explorer.exe로 실행되고 있는것이 바로 [탐색기]입니다. 윈도우 10의..
해당 포스팅은 C#을 이용하여 간단한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그 안에 쓰이는 라이브러리나 알고리즘(로직) 등을 다뤄보고 학습하는 포스팅입니다. 이 글을 통해 기존에 있던 프로그램과 비교하면서 해당 프로그램의 쓰임새, 동작 방식 등을 분석하거나 조금은 다른 관점으로 접근하여 생각해 보는것이 이 글과 앞으로 있을 포스팅의 목표입니다. # 개요 이번에 다룰 유틸리티 프로그램은 [메모장]만큼이나 사용자들이 간편히 애용하는 [그림판]입니다. 사용자가 [그림판]을 이용하여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 이미 있는 사진, 그림, 이미지 등을 열고 편집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메모장]이 텍스트 파일을 열고 편집할 수 있다면 [그림판]은 이미지 파일을 열고 편집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미지 파일의 종류는 비트맵..
해당 포스팅은 C#을 이용하여 간단한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그 안에 쓰이는 라이브러리나 알고리즘(로직) 등을 다뤄보고 학습하는 포스팅입니다. 이 글을 통해 기존에 있던 프로그램과 비교하면서 해당 프로그램의 쓰임새, 동작 방식 등을 분석하거나 조금은 다른 관점으로 접근하여 생각해 보는것이 이 글과 앞으로 있을 포스팅의 목표입니다. # 개요 이번에 다룰 유틸리티 프로그램은 [돋보기]입니다. 돋보기 프로그램은 화면의 모습을 확대하여 해당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기 위한 유틸리티 프로그램으로써, 글씨가 작아서 이름처럼 돋보기를 놓고 보듯이 확대해서 본다거나, 프리젠테이션을 할 때나 직접 화면을 송출하면서 방송할 때 특정 영역을 집중해서 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돋보기 프로..
해당 포스팅은 C#을 이용하여 간단한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그 안에 쓰이는 라이브러리나 알고리즘(로직) 등을 다뤄보고 학습하는 포스팅입니다. 이 글을 통해 기존에 있던 프로그램과 비교하면서 해당 프로그램의 쓰임새, 동작 방식 등을 분석하거나 조금은 다른 관점으로 접근하여 생각해 보는것이 이 글과 앞으로 있을 포스팅의 목표입니다. # 개요 이번에 다룰 유틸리티 프로그램은 [메모장]입니다. 메모장은 텍스트 파일(.txt) 파일을 생성하거나 기존에 있는것을 열어 그 내용을 볼 수 있고, 직접 텍스트 편집이 가능한 에디트 프로그램입니다. 최소한의 텍스트 편집 기능이 갖춰져 있고, 윈도우 운영체제의 기본 프로그램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메모장 이외에도 문서 에디..
이 글은 .NET에서 Chromium Embedded Framework(CefSharp)와 Facebook SDK를 이용한 "페이스북 자동화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을 담은 기록 문서들 중 (5)에 해당하는 글입니다. (1) - 프로그램 구상 및 개요 (2) -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등록 방법(3) - Facebook SDK와 CefSharp 적용 방법(4) - 프로그램의 구동 과정(5) - 마무리 : 배운것과 보완할 점 # 알아간 내용들 평소 c#을 이용하여 .NET 프레임워크의 라이브러리만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곤 하는데, 이번처럼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다 보니 기존과는 또 다른 개발의 재미를 새로이 경험해봤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이번에 준비하고 개발하면서 이건 습득해두면 두고두고..
이 글은 .NET에서 Chromium Embedded Framework(CefSharp)와 Facebook SDK를 이용한 "페이스북 자동화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을 담은 기록 문서들 중 (4)에 해당하는 글입니다. (1) - 프로그램 구상 및 개요 (2) -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등록 방법(3) - Facebook SDK와 CefSharp 적용 방법(4) - 프로그램의 구동 과정(5) - 마무리 : 배운것과 보완할 점 일단 처음 설명한대로 CEF를 통해 크로미움을 프로그램에 내포하고 이를 통해 페이스북 서버와 통신할 계획이었고 이를 목표로 프로그램을 개발했습니다. 자동으로 로그인하고 글을 쓰는것 까지는 구현이 되었으니 이에 대해 프로그램 실행화면과 함께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화면을 보여..
이 글은 .NET에서 Chromium Embedded Framework(CefSharp)와 Facebook SDK를 이용한 "페이스북 자동화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을 담은 기록 문서들 중 (3)에 해당하는 글입니다. (1) - 프로그램 구상 및 개요 (2) -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등록 방법(3) - Facebook SDK와 CefSharp 적용 방법(4) - 프로그램의 구동 과정(5) - 마무리 : 배운것과 보완할 점 저는 현재 개발 프로그램으로 Microsoft Visual Studio community 2015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비주얼 스튜디오가 유료여서 접근이 쉽지 않았는데 커뮤니티 버전이 생긴 이후로는 개인이 개발용도로 사용하기에 부담이 없어졌습니다. 또한 [NuGet 패키지 관리...
이 글은 .NET에서 Chromium Embedded Framework(CefSharp)와 Facebook SDK를 이용한 "페이스북 자동화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을 담은 기록 문서들 중 (2)에 해당하는 글입니다. (1) - 프로그램 구상 및 개요 (2) -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등록 방법(3) - Facebook SDK와 CefSharp 적용 방법(4) - 프로그램의 구동 과정(5) - 마무리 : 배운것과 보완할 점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등록 절차를 거치는 이유는 페이스북 데이터 접근 권한과 페이스북이 제공하는 기능들(API)을 제공받고 활용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를 위해 엑세스 토큰이 필요로 하게되고, 엑세스 토큰을 반환받기 위해서는 앱 ID와 앱 시크릿 코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앱 ID와 앱 시크..